반응형
프로젝트를 세팅하다보면 반복되는 세팅들이 있다.
prettier, eslint 등,,
모노레포로 만든다 -> 같은 서비스가 아니라서 묶을 수는 없다ㅋㅋ
매번 복붙한다 -> 귀찮다, 매번 수정해야한다
그러다가 npm 패키지로 배포해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.
그래서 일단 prettier 부터 배포해보겠다.
1. npm 사이트에 회원가입한다.
2. 터미널 에서 로그인한다
npm adduser
3. package.json 과 공유할 prettier 설정을 추가한다.
github 참고 바람 (link)
prettier 홈페이지 설명 (link)
npm init -y
기본 설정으로 프로젝트를 초기화
{
"name": "@nr2p/prettier-config",
"version": "1.0.0",
"description": "설명을 써준다",
"main": "index.js",
"keywords": [
"prettier-config"
],
"author": "",
"license": "ISC",
"publishConfig": {
"access": "public"
},
"devDependencies": {
"@types/prettier": "^3.0.0"
},
"peerDependencies": {
"@types/prettier": "^3.0.0",
"prettier": "^3.2.4"
}
}
나는 이렇게 구성했다.
공개해서 사용할거고,
prettier config 작성시 타입 추론을 위해 @types/prettier 을 사용했기 때문에
devDependencies 와 peerDependencies 를 이렇게 구성했다.
결국에 타입도 prettier 버전하고 관계가 있으니 prettier 패키지도 peer 에 추가해주었다.
++) 추가
급 생각났다. @types prettier 는 이 config 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
optionalDependecies 로 변경했다.
4. 배포
npm publish
오 생각보다 간단하다.
적용하면 이 포스팅에 추가해보겠다.
반응형
'내가 경험한 것 > 1.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프로젝트 시작할 때 세팅 목록 1 (0) | 2024.02.03 |
---|---|
eslint config npm에 올리기 (0) | 2024.02.03 |
TanStack Query v5 의 Breaking Changes (2) | 2024.01.07 |
FE 과제 회고1 (4) | 2024.01.06 |
나를 괴롭히던 타입스크립트 - lodash 편 (2) | 2023.12.25 |